Hyper-Bubble school
Multi-level renovation of elementary school
이윤진 Yoonjin Yi / Studio A
yoony0202@khu.ac.kr
초등학교 유휴교실을 확장의 공간개념을 이용한 리노베이션으로 풀어낸다.
본 프로젝트는 늘어나고 있는 초등학교 유휴교실을 가정하여 버려지게 되는 도심 속 공간을 활용해보고자 하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최근 이어지는 고령화 저출산 시대의 도래로, 도시 내 초등학교 수에 비해 초등학생의 수가 급감하는 추세이다. 고로, 초등학교에는 빈 교실들이 생겨난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위치 선정은 1980년대 이후 대부분 페리(C.A. Perrry)의 근린주구이론(1924년)의 변형에 기반한다. 근린주구이론이란, 단지계획의 한 단위로서, 어린이가 넓은 도로를 건너지 않고 걸어서 초등학교에 통학할 수 있는 규모를 기준으로 잡고, 집 가까이 학교, 일자리, 여가공간이 함께 있는 동질적 주거공간을 만들고자 한 이론이다. 반경 400m 정도로 설정된 범위를 보행생활권으로 보고, 공공, 상업시설을 그 안에 배치하며, 초등학교가 그 중심에 위치한다.
보행생활권의 가운데 위치한 이 초등학교에서, 새로운 공간의 확장이 일어나면 어떨까? 학생들과 주민들이 모두 이용 가능한 새로운 정보 전달 및 공유의 공간이 존재하면 어떨까? 학생들에게는 기존의 일방적 교육에서 벗어나 새로운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면서, 주민들에게는 문화적으로 소통하며 정보를 재생산하는 공간이 되면 어떨까? 여기에서 나는 비선형적인 공간구성인 하이퍼텍스트(Hypertext) 건축의 방법론을 고안했다. 공간이 직선형의 벽과 정형화된 모듈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삼차원적으로 확장하고 수렴하며 새로운 공간을, 새로운 관계를, 새로운 교육을 만들어낸다. 비워지고 채워지는 구형의 공간이 기존의 11자형 초등학교를 완전히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